2025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궁금증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왜 이번 선거엔 기호 3번 후보가 없지?"
기호 1번과 2번은 눈에 잘 띄는데, 그 사이 기호 3번이 통째로 비어 있는 모습을 보고 의아했던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그리고 기호 부여 방식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1. 대통령 선거 후보자 ‘기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우선,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자에게 주어지는 ‘기호’는 공직선거법 제150조에 따라 정해집니다. 이 규정에 따라 기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부여됩니다.
1) 국회 의석을 가진 정당 → 기호 1번부터 순차 배정
- 국회 의석 수가 많은 정당 순서대로 기호가 주어집니다.
- 예를 들어, 의석 수가 가장 많은 정당 후보는 기호 1번, 그다음 정당은 기호 2번, 다음은 기호 3번… 이런 식이죠.
2) 무소속 후보 → 기호 뒷번호, 추첨으로 결정
- 정당 후보들 다음으로 무소속 후보들이 기호를 배정받습니다.
- 이 경우에는 추첨을 통해 기호가 결정됩니다.
2. 그런데 왜 기호 3번이 없을까?
그렇다면 이번 대선에서는 왜 기호 3번이 공란으로 남았을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기호 3번을 받을 자격이 있는 정당이 대통령 후보를 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즉, 국회 의석 수 기준으로 3번째 순서인 정당이 대선 후보를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기호가 비어 있게 된 것이죠.
이런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기호 번호는 부여되지 않습니다.
즉, 후보가 없으면 해당 기호는 자동으로 빠지게 되는 거예요.
3. 이런 일은 처음이 아니다! 과거에도 있었던 ‘빈 기호’
이런 현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총선 비례대표 선거에서도 주요 정당들이 위성정당을 통해 후보를 내면서,
기호 1번과 2번이 공란으로 남았던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처럼 후보 등록 여부에 따라 기호가 부여되는 시스템상,
중간 번호가 비는 건 법적으로도 전혀 문제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정리: 기호 3번이 없는 이유는?
✅ 국회 의석 기준 3번째 정당이 대통령 후보를 내지 않음
✅ 공직선거법에 따라 기호는 순차적으로 부여됨
✅ 해당 정당이 빠질 경우, 그 기호는 공란 처리됨
즉,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이 없는 이유는
정당의 후보 미등록 때문입니다.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를 위해 마련된 기호 배정 시스템은,
굉장히 논리적이고 체계적이죠.
선거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히 알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자고요!
'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회복 소비쿠폰, 행정안전부 공지 총정리 (지급 대상, 지급 금액, 신청 방법, 사용처 총정리/ 건강보험표 상위 10% 계산 해보기) (3) | 2025.06.16 |
---|---|
첫만남이용권 완벽 가이드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 Q&A까지!) (1) | 2025.05.25 |
티스토리 vs 블로그스팟 (티스토리 운영자가 궁금해서 알아본 블로그스팟에 대해서!) (3) | 2025.05.22 |
2025 근로장려금 최대 330만원 지급 (신청 방법, 자격 요건, 최대 금액, 신청 기간, 지급 시기 총정리) (2) | 2025.05.12 |
2025 자녀장녀금, 최대 100만원 지급 (신청 방법, 자격 요건, 최대 금액, 신청 기간, 지급 시기 총정리) (1) | 2025.05.11 |